○ for문 구조 => for 변수 in [리스트] or (튜플) or "문자열":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수행할 문장...

   ☆ 리스트, 튜플, 문자열에서 차례대로 변수에 대입된다

○ continue : for문 실행 중 continue 만나면 for문의 처음으로 돌아가,

                 그 아래 명령을 실행하지 않음

range함수  => (시작 값, 마지막 값)

   ☆ 마지막값은 포함 X

   for문에서 함께 많이 쓰임

 

○ 리스트 내포 => [변수 for 항목 in 반복되는객체 if 조건문]

   ☆ 조건문은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됨

   ☆ 더 간결하게 작성 가능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0차시 - while문  (0) 2019.08.27
9차시 - if문  (0) 2019.08.26
8차시 - 자료형 값 저장  (0) 2019.08.21
7차시 - 불 자료형  (0) 2019.08.19
6차시 - 집합 자료형  (0) 2019.08.19

○ while문 : 어떤 명령어를 반복하여 실행할 때 사용됨

기본구조 => while 조건문:

실행 문장1

while문 빠져나오기 : break

명령문 처음으로 가기 : continue => 아래의 명령문을 실행 하지 않고

반복문의 처음으로 감.

무한 루프 : 반복문이 끝나지 않고 명령문을 계속 실행하는 것

ex) while True: => 조건이 계속 참이므로 명령문 계속 실행 / 끝날 조건도 X

☆ Ctrl+c 로 무한루프 빠져나올 수 O

 

 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1차시 - for문  (0) 2019.08.27
9차시 - if문  (0) 2019.08.26
8차시 - 자료형 값 저장  (0) 2019.08.21
7차시 - 불 자료형  (0) 2019.08.19
6차시 - 집합 자료형  (0) 2019.08.19

○ if문 : 한 조건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명령어를 출력

if문 만들기 : if (조건):

실행문장

실행문장

...

elif(조건) : = C언어에선 else if와 동일

☆ 파이썬에서의 if문은 { } 괄호가 아닌 : 콜론을 붙여야함

☆ 조건부 표현식 : 조건문이 참일경우 if 조건문 else 조건문이 거짓일경우

=> 가독성 더 좋음

 

조건문 ? "참과 거짓을 판단하는 문장"

○ 비교연산자 : a > b | a < b | a == b | a != b | a <= b | a >= b |

다른연산자 : a and b-둘다 참이어야 참 | a or b-둘 중 하나만 참이어도 참 | a not-a가 거짓이어야 참

☆ 조건 참일 시 아무실행 하지 않기 : pass => 아무 동작 하지 않고 넘어간다

 

다양한 조건문

1. x in [리스트] : 리스트안에 x가 있는가?

2. x in (튜플) : 튜플안에 x가 있는가?

3. 'x' in '문자열' : 문자열안에 x가 있는가?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1차시 - for문  (0) 2019.08.27
10차시 - while문  (0) 2019.08.27
8차시 - 자료형 값 저장  (0) 2019.08.21
7차시 - 불 자료형  (0) 2019.08.19
6차시 - 집합 자료형  (0) 2019.08.19

○ 변수란? 객체를 가리키는 것

ex ) a="hello" ==> 문자열 자료형이 메모리에 생성, 변수 a는 그 메모리의 주소 가르킴

★ 변수 메모리의 주소확인 => id() 함수 사용

 

변수 만들기 : '=' 기호 사용 ===> 변수명 = 지정값

☆ 튜플사용 , 괄호생략O => a,b=('hello','world')

☆ 리스트사용 => [a,b] = ['nice','good']

여러변수에 같은 값 대입

두 변수의 값 바꾸기 => a,b=b,a

* 다른언어와는 달리 파이썬은 자료형을 지정 안해도 스스로 판단하여 지정함

 

리스트 복사?

ex ) a=[1,2,3] b=a >>> 완전히 동일 / 리스트 참조 가능한 변수가 2개로 추가 됨.

a리스트 요소를 바꾸면 b리스트 요소도 바뀜 (같은주소니까)

=> a is b >>> True ( is 함수로 같은지 확인)

 

리스트 복사 시 다른 주소 가르키기

1. '[:]' 이용 : b=a[:]

2. copy 함수 사용 : from copy imprt copy b=copy(a)

 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0차시 - while문  (0) 2019.08.27
9차시 - if문  (0) 2019.08.26
7차시 - 불 자료형  (0) 2019.08.19
6차시 - 집합 자료형  (0) 2019.08.19
과제 - 구구단 짜기  (0) 2019.08.14

불 자료형

 

○ 불 자료형 : 불(bool)은 , 거짓만을 나타내는 자료형 (딱 두가지 값만 갖는다)

불 자료형을 사용한 조건문

    ex) print(2==1)  >>>False(불자료형)   ("2와 1이 같아?" >>> "아니")

 

자료형의 참 / 거짓

    참 : 1과 나머지 숫자, 거짓을 제외한 나머지

    거짓 : 0 , None , 비어있는 문자열 ("") , 비어있는 리스트 ([ ]) , 비어있는 튜플 (( )) , 비어있는 딕셔너리 ({ })

 

○ 불 연산

    => bool 내장 함수 ~> 자료형의 참과 거짓 판별 가능

 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9차시 - if문  (0) 2019.08.26
8차시 - 자료형 값 저장  (0) 2019.08.21
6차시 - 집합 자료형  (0) 2019.08.19
과제 - 구구단 짜기  (0) 2019.08.14
과제 오답노트  (0) 2019.08.14

집합 자료형

○ 집합 자료형 만들기 : set()

    ex ) s1=set([1,2,3,4])

set의 특징 : 중복허용 x / 순서 x

    => 리스트나 튜플의 경우 인덱싱을 통해 자료형 값을 얻을 수 있는 반면,

         집합 자료형은 순서가 없기 때문에 인덱싱을 통한 자료형 값 얻을 수 없음 (딕셔너리와 같음)

         ★set자료형 에서 인덱싱으로 접근하려면 리스트나 튜플로 변환 해야함

 

set이 유용하게 쓰이는 경우 : 교집합 / 합집합 / 차집합 구하기

   1. 교집합 : ‘&또는 intersection 함수 (s1.intersection(s2) or s2.intersection(s1))

   2. 합집합 : ‘|또는 union 함수 (s1.union(s2) or s2.union(s1))

   3. 차집합 : ‘-또는 difference 함수 (s1.difference(s2)) or s2.difference(s1))

 

○ 집합 자료형 관련 함수

   1. 1개 추가 : s1.add(4)

   2. 값 여러 개 추가 : s1.update([1,2,3])

   3. 값 제거 : s1.remove(2) -> 특정 값 삭제 O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8차시 - 자료형 값 저장  (0) 2019.08.21
7차시 - 불 자료형  (0) 2019.08.19
과제 - 구구단 짜기  (0) 2019.08.14
과제 오답노트  (0) 2019.08.14
5차시 - 딕셔너리(dictionary)  (0) 2019.08.12

* 이중 for문 사용

* range 함수 사용

* 2단 ~ 9단까지의 구구단 구현

for i in range(2,10):
	for j in range(1,10):
		print("%d x %d = %d" %(i , j , i*j))
	print("\n")

코드 분석 

for i in range(2,10):  #i는 n단, 2~9(10은 제외) 까지
       for j in range(1,10):  #j는 곱하는 수 (10은 제외)
            print("%d x %d = %d" %(i ,j ,i*j))
       print("\n")  #한단 마치면 한줄 건너띄기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★ 새로 배운 점 

문자열 포매팅 여러개 넣기는 %(a,b) 이렇게 작성하기

 

 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7차시 - 불 자료형  (0) 2019.08.19
6차시 - 집합 자료형  (0) 2019.08.19
과제 오답노트  (0) 2019.08.14
5차시 - 딕셔너리(dictionary)  (0) 2019.08.12
4차시 - 튜플  (0) 2019.08.12

문제 

#3번

"""

c[-1] 은 리스트의 마지막 값을 의미

이를 활용해 리스트를 뒤집어라

(단, reverse() 함수 사용 불가)

"""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내가 쓴 답 △

c = [1,2,3,4,5]
i=-1
a=0
for i in range (6):
    c[a]=c[i]
    a=a+1
    i=i-1
print(c)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모범 답안 

c=[1,2,3,4,5]

res=c[::-1]

print("%s" %res)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△ 실행결과가 틀린이유 

* 범위가 잘못 됨

* 긴가민가하는 for문을 내맘대로 막씀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△ 고친 코드 및 분석

c=[1,2,3,4,5]

newc=[]  #새 배열 만들기

for i in range (1,len(c)+1):  #i의 범위를 1부터 c배열의 길이 +1만큼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#range 함수는 마지막수 포함 안하기 때문에 범위를 하나더 늘림

    newc.append(c[-i])  #c[-1]이 마지막수인걸 이용해 새배열의 맨 뒤부터 숫자 추가

print(newc)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△ 새로 배운 점 

1. for문은 " for 변수 in 리스트 ( or 문자열, 튜플,range()): " 형태로 작성하는구나!

   (for문 맨뒤에 : 붙이기)

 2. 배열은 자료형 필요없이 바로 만들어주면 되는구나!

 3. range() 함수는 range(시작,끝) 형태로 쓰는구나!

   (끝 숫자는 포함안하고 그 전의 숫자까지 포함)

 4. i는 따로 초기화 안해도 0부터 시작하는구나!

 

 

 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6차시 - 집합 자료형  (0) 2019.08.19
과제 - 구구단 짜기  (0) 2019.08.14
5차시 - 딕셔너리(dictionary)  (0) 2019.08.12
4차시 - 튜플  (0) 2019.08.12
3차시  (0) 2019.08.12

+ Recent posts